
환경설계 또는 설계 분야에서 실제 업무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간단히 차례대로 소개하고자 한다. (간단하게 짧게 소개하는 게 목적이므로, 자세한 풀이나 궁금한 건 댓글로 물어보기를 바란다.) 1. 도급 (예 : 도급계약, 도급자, 도급인 등등) : '갑'이 '을'에게 일을 시키는 것 해설 : 주로 계약 관련해서 문서에 많이 나오는 단어이다. 정석대로 얘기하면, 도급계약이란, 계약자가 일을 완성하는 대가로 돈을 지급하는 계약이라 생각하면 된다. 2. 수급 (예 : 수급자, 수급) : '을'이 '갑'에게 일을 받는 것 해설 : 주체에 따라 도급, 수급이 다른 것뿐 결국 뜻은 같기때문에, 간단히 기억하면 좋을 거 같다. 계약이나 여러 문서상 설계사를 '수급인'으로 칭할 때가 많으므로 알아두면 좋다. 3. 총액계약..

저번 시간까지는 환경엔지니어링에 관해 대략적인 개요를 언급했다면, 이제는 실제 설계 업무에서 쓰이는 개념들에 대해 풀어서 설명 및 내용을 보충하고자 합니다. 우리가 속한 산업은 '건설산업'이라고 합니다. 건설 산업의 생애 주기는 조사, 설계, 감리, 유지관리 등 건설 기술 용역 관련 서비스 또는 시공단계의 도급 공사를 수행하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. 그래서 이 업을 '건설업'이라고 말합니다. '건설공사'는 토목,건축,기계설비,조경 등 각 분야별로 시설물을 설치,유지하는 공사를 의미합니다. (자세한 정의를 알고 싶다면, 법제처에 들어가셔서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(정의)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) 건설산업에는 건설업, 기타공사업, 건설용역업이 있는데, 엔지니어링이 바로 건설용역업에 포함됩니다. (용역을 흔히 서비스..

① 환경엔지니어링에 관하여에 이어서 2편을 작성했습니다.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시작하겠습니다. 4. 환경설계 분야로 취업할려하는데 어떤걸 준비해야할까요?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눌수 있을거 같습니다. 1. 자격증 우선 저 같은 경우는 지원서 작성할 때, 환경과 관련된 자격증 3개(수질, 대기, 폐기물)을 가지고 있는 상태였습니다. 그렇다면 설계회사에서는 왜 자격증을 요구하는 것일까요? 회사에서 자격증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가 일, 즉 용역을 시작할 때, '기술자선임' 관련해서 착수계에 참여기술자 명단에 이름을 올려야하기 때문입니다. 이 때, '건설기술인협회'에 등록되어 있는 회사 소속 기술인이 필요한데, 이 때 자격증이 있어야지만 전문분야를 선택해 용역에 이름을 올릴수 있기 때문입니다. 간단히 얘기하..

안녕하세요, 한번쯤은 써야지, 써야지 하다가 드디어 써보게 됩니다. 블로그의 여러 분야의 다양한 글을 올려서 헷갈렸겠지만, 저의 직업은 엔지니어링(설계), 그 중에서도 환경설계를 하는 사람입니다. (이제 1년 6개월차) 사실 이전에 써봐야지 하면서도 미루었던 점은 아무래도 환경분야 중에서도 설계분야는 정보공유가 활발히 없다고 생각하니 글을 올려도 반응이 없을까 싶어서 미루어 둔 것도 없지않아 있었던거 같습니다. 그래도 저처럼 설계에 대해서 진지하게 찾아보거나 이쪽으로도 취업을 생각하는 분들, 그리고 이 직무에 대해 구글에 아무리 찾아도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겠는 사람들을 위해서 글을 올려봅니다. (아마 저의 경력이 짧아 제 소견이 무조건 맞는게 아니라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거 같습니다.) 1. 환경엔지니어..